The power of wind

Sculptured by nature

Sky and Snow

A tree on the hill

The East Sea from the top of the Samyang Farm


어릴 적 소원중에 눈속에 굴을 파고 지나가 보는 것이 있었습니다. 물론 아주 많은 눈이 내려야 하는데, 제가 사는 곳엔 그렇게 많이 내리진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경험해 본 바로는 많이 내려봤자 30cm 정도 쌓여있는 것이었는데...
대관령 삼양 목장에는 눈이 내리면 잘 안녹아서 그런지... 밟아 본 곳 중에서 허리까지 눈이 쌓여 있는 곳이 있더군요 ^^ 어떤 곳은 2m 넘게 보이는 곳도 있었는데, 밟아 보진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삼양 목장에 입장료를 내야 할 때, "카드는 안되지요?" 라고 물어서 그런지, 안내 팜플렛도 못받고 무작정 올라갔습니다. 눈이 폭 빠지는 길로 왕복 8km라고 했는데...
올라가다가 비료푸대 썰매도 타고, 그 후에 전망대를 향했습니다. 눈이 많이 쌓여 있어서 사람들 발자국을 따라 올라갔는데.. 도저히 전망대로 향한 길을 찾을 수 없어 포기하려는 순간... 누군가가 내려오길래, 여쭤 봤습니다. 30분만 가면 되요... 또 포기하려는 순간... 다른분이 10분만 가면 되요... 그래서 끝내 전망대에 올라 강릉 시내와 동해 바다를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하산할 때가 문제.. 내려가는데, 아무도 올라오는 사람이 없더군요. ^^ 조금만 가면되요..라고 말해주고 싶었는데... 그런데... 내려가다 보니 아까 온 길이 아닌 듯 싶었습니다. 극지방에서 크레바스를 피하듯이 깊이 빠지지 않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발자국을 다시 밟고 가는데.. 중간에 보니, 며칠간은 사람이 지나간 흔적이 없는 낯선 곳이었습니다. 눈이 쌓인 높이도 놓고... 이러다가 조난당하는 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일행이 있었지만, ^^ 이미 신발속은 눈이 들어가 물로 흥건하고... 꼭 히말라야 같은 곳을 등반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바람도 세차게 불고... 그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장면을 보면 카메라를 꺼내서 사진을 찍었으니... 훗 다행히 무사히 내려왔습니다. 올라간 길하고는 정 반대의 곳으로 내려왔더군요.
농담이지만, 여러분들 못볼 뻔 했어요 :)

이 녀석 겨울인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통통했다. 어디다가 좋은 음식을 숨겨 놓은 것일까. 상원사에서 사진을 찍으러 갔는데 이녀석이 내게 다가왔다. 그 장면을 못 찍은게 아쉽지만, 사람을 무서워 하지 않는 듯 했다. 나를 반갑다는듯이 날개짓을 하며 바로 10cm 앞 상공에서 정지해 있었다. ^^ 덕분에 이렇게 가까이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아무래도 누군가 먹이를 주는 것이 아닐까. 다음에 산에 갈 일이 있으면 새 먹이라도 싸서 가봐야 겠다. ^^


학명: Parus varius varius
분류: 참새목 박새과
생활방식: 먹이를 저장해 둠
크기: 몸길이 14cm, 날개길이 7~8cm
색: 검정색(머리·멱), 붉은 갈색(뒷목·아랫면), 짙은 회색(날개)
생식: 1회에 5~8개의 알을 낳음
서식장소: 평지 또는 산지 숲
분포지역: 한국·일본·쿠릴열도·사할린섬·중국(동북부)

곤줄매기라고도 한다. 몸길이 14cm, 날개길이 7~8cm이다. 머리 위쪽과 목은 검고 등과 날개는 짙은 회색이다. 뒷목과 아랫면은 붉은 갈색이다. 부리는 검다. 산지 또는 평지나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평야나 바닷가의 상록활엽수림에 많이 모여든다. 주로 곤충의 유충을 잡아먹는데 가을과 겨울에는 작은 나무열매를 먹는다. 먹이를 따로 저장해 두는 버릇이 있다. 알을 낳는 시기는 4∼7월이며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 흰색 바탕에 갈색 무늬가 있는 알을 5∼8개 낳는다. 새 상자 따위의 인공 둥지도 잘 이용한다. 한국·일본·쿠릴열도·사할린섬·중국(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naver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