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초등학교 시절 집 근처 공원에서 우연히 털매미 우화 모습을 목격한 이후로 곤충에 많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시절 애벌레에서 어른벌레로 변태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싶었으나, 사진 기술의 부족으로 제대로 찍을 수가 없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3년전 한간변에서 말매미 우화하는 모습을 발견하여 거의 20년만에 드디어 우화하는 모습을 제대로 찍을 수 있었습니다.
(http://hojae.net/548, http://hojae.net/549)
2011년 비가 많이 내린 어느 날 밤, 퇴근 하던 중 회사 근처 아파트 앞 나무에 무수히 매달려 있는 하얀 꽃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 장면을 보자마자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 나온 다음 구절이 절로 생각났습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 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소금을 뿌려놓은 듯 흐드러지게 핀 꽃은 다름 아닌 우화한 매미 날개였고, 어두운 밤에 빛나던 모습은 장관이었습니다.
(비가 온 후에는 땅이 물러지기 때문에 땅속에 애벌레가 나오기가 쉬워져 평소보다 더욱 많은 개체가 우화를 하게 됩니다.)
참매미 암컷의 우화 모습입니다.
땅속에서 우화하기 위해 나무 위로 올라온 참매미 애벌레입니다. 우화할 장소를 결정하면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다리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우화를 일단 시작하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화하다 땅으로 떨어진다면 날개를 제대로 펼수가 없어 죽게 되기 때문입니다.
밤이나 새벽에 우화를 보통 하는데, 온도가 높을 때 우화를 하면 날개를 다 펴기 전에 굳어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21시 30분 드디어 등이 갈라지면서 몸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21시 34분 부르 부르 떨면서 가슴 부분을 계속 빼냅니다.
21시 37분 머리 부분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21시 38분 머리가 나왔습니다.
21시 39분 더듬이도 다 나왔고 다리를 뺄 차례입니다.
21시 42분 앞 다리 먼저 빼내고 있습니다.
21시 46분 주름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가 빠져 나왔습니다.
21시 49분 앞 다리는 모두 뺐고 다음 다리들을 빼고 있습니다. 울음판이 작은 것을 보니 암컷입니다.
21시 51분 다리를 빼기 위해 물구나무서기 자세를 취합니다.
21시 55분 다리 6개가 모두 빠져 나왔습니다.
21시 58분 다리를 몸통쪽으로 붙이고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22시 4분 날개에 혈액이 공급되면서 조금씩 커집니다.
22시 11분 날개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몸통을 일으켜 세웁니다.
22시 11분 애벌레 허물을 붙잡은 후 배 부분을 빼고 있습니다.
22시 12분 날개는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22시 12분 애벌레 허물에서 몸을 다 뺐습니다. 배 끝쪽에 암컷 특유의 산란관이 보입니다.
22시 14분 날개가 계속해서 펴지고 길어집니다.
22시 16분 날개가 펴지면서 날개색이 불투명한 하얀색에서 반투명으로 변합니다.
22시 16분
22시 20분 날개가 거의 다 펴졌습니다.
22시 28분 날개가 다 펴졌습니다. 뒷다리를 나무가지에서 떼어 냈습니다.
22시 52분 날개를 어느 정도 말린 뒤 몸쪽으로 붙입니다. 날개가 다 마르지 않아 우글우글한 모습이 보입니다. 앞다리로만 몸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22시 59분 정면에서 본 모습입니다.
23시 52분 한시간 정도 지난 후 날개가 빳빳해 지고 투명으로 바뀌었습니다.
23시 52분 모든 다리로 몸을 고정한 후 온 몸을 말리기 시작합니다.
몇시간 후 몸과 날개가 단단하게 되고 몸색도 진하게 변하게 됩니다.
이제 최대 2주 정도 살면서 수컷이 암컷을 구애하기 위해 내는 소리를 찾아가 다음 세대를 낳을 것입니다.
그시절 애벌레에서 어른벌레로 변태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싶었으나, 사진 기술의 부족으로 제대로 찍을 수가 없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3년전 한간변에서 말매미 우화하는 모습을 발견하여 거의 20년만에 드디어 우화하는 모습을 제대로 찍을 수 있었습니다.
(http://hojae.net/548, http://hojae.net/549)
2011년 비가 많이 내린 어느 날 밤, 퇴근 하던 중 회사 근처 아파트 앞 나무에 무수히 매달려 있는 하얀 꽃을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그 장면을 보자마자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 나온 다음 구절이 절로 생각났습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 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소금을 뿌려놓은 듯 흐드러지게 핀 꽃은 다름 아닌 우화한 매미 날개였고, 어두운 밤에 빛나던 모습은 장관이었습니다.
(비가 온 후에는 땅이 물러지기 때문에 땅속에 애벌레가 나오기가 쉬워져 평소보다 더욱 많은 개체가 우화를 하게 됩니다.)
참매미 암컷의 우화 모습입니다.
땅속에서 우화하기 위해 나무 위로 올라온 참매미 애벌레입니다. 우화할 장소를 결정하면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다리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우화를 일단 시작하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화하다 땅으로 떨어진다면 날개를 제대로 펼수가 없어 죽게 되기 때문입니다.
밤이나 새벽에 우화를 보통 하는데, 온도가 높을 때 우화를 하면 날개를 다 펴기 전에 굳어버리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21시 30분 드디어 등이 갈라지면서 몸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21시 34분 부르 부르 떨면서 가슴 부분을 계속 빼냅니다.
21시 37분 머리 부분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21시 38분 머리가 나왔습니다.
21시 39분 더듬이도 다 나왔고 다리를 뺄 차례입니다.
21시 42분 앞 다리 먼저 빼내고 있습니다.
21시 46분 주름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가 빠져 나왔습니다.
21시 49분 앞 다리는 모두 뺐고 다음 다리들을 빼고 있습니다. 울음판이 작은 것을 보니 암컷입니다.
21시 51분 다리를 빼기 위해 물구나무서기 자세를 취합니다.
21시 55분 다리 6개가 모두 빠져 나왔습니다.
21시 58분 다리를 몸통쪽으로 붙이고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22시 4분 날개에 혈액이 공급되면서 조금씩 커집니다.
22시 11분 날개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몸통을 일으켜 세웁니다.
22시 11분 애벌레 허물을 붙잡은 후 배 부분을 빼고 있습니다.
22시 12분 날개는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22시 12분 애벌레 허물에서 몸을 다 뺐습니다. 배 끝쪽에 암컷 특유의 산란관이 보입니다.
22시 14분 날개가 계속해서 펴지고 길어집니다.
22시 16분 날개가 펴지면서 날개색이 불투명한 하얀색에서 반투명으로 변합니다.
22시 16분
22시 20분 날개가 거의 다 펴졌습니다.
22시 28분 날개가 다 펴졌습니다. 뒷다리를 나무가지에서 떼어 냈습니다.
22시 52분 날개를 어느 정도 말린 뒤 몸쪽으로 붙입니다. 날개가 다 마르지 않아 우글우글한 모습이 보입니다. 앞다리로만 몸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22시 59분 정면에서 본 모습입니다.
23시 52분 한시간 정도 지난 후 날개가 빳빳해 지고 투명으로 바뀌었습니다.
23시 52분 모든 다리로 몸을 고정한 후 온 몸을 말리기 시작합니다.
몇시간 후 몸과 날개가 단단하게 되고 몸색도 진하게 변하게 됩니다.
이제 최대 2주 정도 살면서 수컷이 암컷을 구애하기 위해 내는 소리를 찾아가 다음 세대를 낳을 것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독도에서 올레 와이파이가 됩니다. 왜? 우리나라 땅이니까요.
아래 사진은 2011년 8월 15일 광복절 66주년을 맞아 방문한 독도에서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아이폰으로 독도를 찍은 후 사진 메뉴에서 본 모습입니다. 상단에 WiFi 마크가 선명하게 표시된 것이 보이시나요?
2011년 5월 독도에서 WiFi 서비스를 kt가 시작하였습니다.
아래 영상을 보면 왠지 모르게 뭉클하네요.
두명, 한명, 아마 없을지도 모릅니다.
독도에서 WiFi를 몇명이 쓰는지는 애초부터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올레는 국토 최동단 독도에서도 WiFi가 되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슴이 뛴다.
올레가 뛴다.
독도에서 WiFi를 몇명이 쓰는지는 애초부터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올레는 국토 최동단 독도에서도 WiFi가 되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슴이 뛴다.
올레가 뛴다.
RECENT COMMENT